파이썬/자료형

파이썬 자료형 - 숫자형

kimble2 2024. 7. 27. 09:49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파이썬의 가장 기초인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c,c++ 같은 경우 자료형을 직접 지정해주어야 하고 파이썬 같은 경우는 변수에 값을 지정해주면 그 그 값이 무엇인지에 따라 자동으로

 

자료형을 정해주게 됩니다.

 

하지만 자료형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 파이썬의 실행 방법이 달라지게 되므로 파이썬의 자료형을 알고있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중 가장 첫번째로 숫자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나 :파이썬의 자료형에서 숫자형에 대해서 공부하려고 해 . 설명과 적절한 예제 코드를 알려줘

 

CHAT GPT:

파이썬에서 숫자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정수형 (int), 실수형 (float), 복소수형 (complex). 각각의 자료형에 대해 설명과 예제를 제공하겠습니다.

 

1. 정수형 (int)

정수형은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나타냅니다. 파이썬에서 정수형은 양수, 음수, 0을 포함합니다. 크기에 제한이 없고, 메모리가 허락하는 한 무한히 큰 숫자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예제

# 정수형 변수 선언
a = 10
b = -5
c = 0

print(a)  # 출력: 10
print(b)  # 출력: -5
print(c)  # 출력: 0

# 정수형 연산
print(a + b)  # 출력: 5
print(a * 3)  # 출력: 30
print(b - c)  # 출력: -5
 

2. 실수형 (float)

실수형은 소수점을 포함하는 숫자를 나타냅니다. 정수와 달리 실수는 소수점 이하의 숫자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제

# 실수형 변수 선언
x = 10.5
y = -3.14
z = 0.0

print(x)  # 출력: 10.5
print(y)  # 출력: -3.14
print(z)  # 출력: 0.0

# 실수형 연산
print(x + y)  # 출력: 7.36
print(x * 2)  # 출력: 21.0
print(y - z)  # 출력: -3.14
 

3. 복소수형 (complex)

복소수형은 실수부와 허수부를 가지는 숫자를 나타냅니다. 파이썬에서는 j를 사용하여 허수부를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1 + 2j는 실수부가 1이고, 허수부가 2인 복소수입니다.

예제

# 복소수형 변수 선언
c1 = 1 + 2j
c2 = 3 - 4j

print(c1)  # 출력: (1+2j)
print(c2)  # 출력: (3-4j)

# 복소수형 연산
print(c1 + c2)  # 출력: (4-2j)
print(c1 * c2)  # 출력: (11+2j)
print(c1 - c2)  # 출력: (-2+6j)
 
 

 

요약

  • 정수형 (int): 소수점 없는 정수. 예: 10, -5
  • 실수형 (float): 소수점 있는 실수. 예: 10.5, -3.14
  • 복소수형 (complex): 실수부와 허수부를 가지는 복소수. 예: 1 + 2j, 3 - 4j

이 세 가지 숫자형은 각각의 용도에 맞게 사용되며, 파이썬에서는 이들을 이용해 다양한 수학적 연산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파이썬에서 숫자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 숫자형과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문자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파이썬 #CHATGPT #자료형 #숫자형 #정수형 #실수형 #복소수형

 

반응형

'파이썬 > 자료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자료형 - 집합(set)  (0) 2024.07.30
파이썬 자료형 - 딕셔너리  (0) 2024.07.30
파이썬 자료형 - 튜플  (0) 2024.07.30
파이썬 자료형 - 리스트  (0) 2024.07.30
파이썬 자료형 - 문자형  (0) 2024.07.27